자료실

[JOB & 콘텐츠] "삼성전자도 모셔간다".. 개발자 뺨치는 채용시장 '샛별', 누구?

  • 조회수 1020
  • 작성자 보건안전공학과
  • 작성일 2022.05.30

안전관리자 공고 2년 전보다 73% 늘어
현장 수요 못 따라가는 인력 공급
대기업 인력 흡수에 중소기업 구인난 심화

요즘 극심해진 취업난에 일자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가 됐다고들 하지요? 그런데 또 한쪽에서는 자리는 있는데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요즘 이렇게 서로 데려가겠다고 애쓰는 이들, 바로 안전관리자입니다.

최근 건설현장에 투입할 안전관리자를 채용하려는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대기업들도 수시로 안전관리자를 구하는 채용공고를 내고 있습니다. 전문 인력은 부족한데 그마저도 이름난 대기업들이 전문 인력을 대거 흡수해가면서 상대적으로 덩치가 작은 중소 기업들은 안전관리자를 구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안전관리자가 대체 어떤 직업이길래 갑자기 기업들이 구인난에 처하게 된 걸까요?

바뀐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수요가 많아진 안전관리자. /현대건설 제공

안전관리자를 구하기 어려워진 가장 큰 이유는 산업안전보건법이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2022년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바뀌었습니다. 기존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 120억원(토목공사 150억원)이 넘는 사업장에선 반드시 안전관리자를 뽑아야 했습니다. 그런데 법이 바뀌면서 2023년 7월 1일까지 50억원 이상 건설공사 현장에는 반드시 안전관리자를 뽑아야 합니다.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80억원 이상의 사업장은 꼭 안전관리자를 뽑아야 하는 것으로 확대됐습니다. 안전관리자 의무 고용이 50억원 이상, 80억원 미만 건설사업장으로 확대 적용되면 3900여명의 안전관리자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습니다.

◇급증한 안전관리자 구인공고

법 개정이 통과된 후로 건설뿐 아니라 제조업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도 안전관리자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최근 한 경제 매체가 취업포털 인크루트에 의뢰해 안전관리자가 포함된 채용 공고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중대재해법이 시행된 첫해인 2022년 1~4월의 안전관리자 채용공고는 518건으로 2020년 같은 기간보다 73% 증가했습니다.

눈에 띄는 변화는 안전관리자를 중대재해법 대응을 위한 임시 인력으로 생각하지 않는 기업이 늘어났다는 점입니다. 채용 공고에서 안전관리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비율은 2022년 1~4월 75.5%로, 지난해 같은 기간 67.6%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늘었습니다.

안전관리자 채용이 두드러진 한 채용공고. /취업포털 사람인

취업 플랫폼 ‘사람인’에서 건설·건축 분야의 안전관리자 채용공고는 2353건(2022년 5월 23일 기준)이 올라있습니다. 건설∙건축 분야의 직무별 채용공고 종류가 69개가 있는데요. 안전관리자를 뽑는 공고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1000명 이상을 뽑는 현장관리자(2228건), 건축기사(1609건), 건축가(1153건), 시공기사(1080건) 채용공고보다 훨씬 많습니다.

예상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한 안전관리자. /삼성물산 유튜브 캡처

한국건설기술인협회 통계를 보면 최근 5년간 안전관리 분야 건설기술인은 6702명 늘었습니다. 2017년 2만4196명에서 2021년 3만898명으로 증가한 겁니다. 1년에 평균 1400명 정도 늘어난 수준입니다. 이 중에서도 건설기업에 공급되는 안전관리자는 연평균 734명 수준입니다. 건설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2021년 공개한 ‘건설재해방지 강화에 따른 안전관리자 수급 불균형 개선방안’ 보고서를 보면 2023년까지 건설업계 안전관리자 추가 수요는 약 5300명에 달합니다. 1400명이 해마다 건설현장에 새로 투입되더라도 전문 인력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안전관리자 어떻게?필수는 아니지만 당락결정하기도하는 자격증

안전관리자가 하는 일은 회사와 현장의 안전과 관련해 사업주와 임원들의 안전보건 관리 책임을 보좌하고, 생산∙판매업무를 지휘∙감독하는 관리감독자(중간 관리자)의 안전 사항을 지도하고 조언하는 것들입니다. 

현장의 안전을 담당하는 안전관리자. /현대건설 유튜브 캡처

하고 싶다고 아무나 안전관리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필수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 산업안전지도사와 산업안전 산업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자격증 중 하나를 갖고 있거나, 산업안전 관련 학위를 취득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또는 관리감독자로서의 업무를 3년(4년제 이공계 대학 학위 취득자는 1년)이상 담당하고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의 교육을 받고 정해진 시험에 합격하면 안전관리자로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을 가졌는지 여부가 안전관리자 합격 당락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법규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안전관리자는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법 기반의 직무를 수행합니다. 이경호 SK하이닉스 안전관리자는 “자격증 시험 내용은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기에, 면접 준비와 직무 수행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중소 건설사 70%는 안전관리자 구인난 겪어

관련법이 개정된 후로 중소 건설기업들이 안전관리자를 구하기는 더 어려워졌습니다. 4월 2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업 안전관리자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수급 확보 방안’을 보면, 303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안전관리자를 구하는데 얼마나 어려워졌는지를 물었는데, 응답한 건설기업 70% 이상이 최근 1년간 안전관리자 수급 여건이 악화됐다고 답했습니다.

건설기업 70% 이상이 '최근 1년간 안전관리자 수급 여건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픽사베이

또 ‘취업 지원자수 자체가 감소했다’고 답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도 각각 65.3%, 71.4%에 달했습니다. ‘최근 1년간 계약기간 이내에 안전관리자가 이직·퇴직한 경우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도 39.7%로 조사됐습니다. 상대적으로 경영 여건이 취약한 중소 건설기업의 안전관리자 부족 문제가 심각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신규 안전관리 자격 취득자가 많아지더라도 중소·중견 건설사가 원하는 인력과 맞지 않을 경우도 예상됩니다.

이전에는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안전관리자를 위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법이 개정되면서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안전관리자를 직접 고용하도록 바뀌었습니다. 기존에는 계약직이 많았던 안전관리자 공고에 정규직 채용 공고가 많아진 이유입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아직 안전관리자의 전반적인 근로 조건이 좋지 않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정부가 전국 건설 현장에 필요한 안전 관련 인력 수를 파악한 뒤 자격 시험 일정을 늘리거나 건설안전 관련 학과를 늘리는 등 중장기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출처]  https://content.v.daum.net/v/EAe0h50K0m


글 jobsN 이후도
jobarajob@naver.com
잡스엔